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련자료
|
- 친환경상품 구매 등 법적 구매 의무사항의 효율적인 추진 위해「자체 구매지침 (물품구매지원
추진계획)」을
수립·시행
- 「물품구매 전산시스템(ERP)을 구축」하여 구매실적 관리 및 구매실태 주기적으로 평가
- 소속관서 경영평가에 친환경상품 구매실적 반영, 구매실태 지도·점검(연2회) 실시, 우수관서
포상
등
|
교육부 관련자료
|
- 세출예산 세부집행 요령정비 : 종이류 및 인쇄·유인물 집행기준을 강화하여 친환경상품
구매토록 추진
- 인쇄 제조계약 특수조건”및“연구보고서 규격서”개정
* 연구용역 비중이 큰 점을 고려, 인쇄 제조계약 특수조건”및“연구보고서 규격서”개정을 통해 친환경
인쇄용지 구매증대 도모
- 물품 구매 요구 및 집행요구서 개정 : 물품 구매 요구 단계에서 친환경상품 여부를 확인토록
하여
구매확대 유도
- BTL사업 시설사업기본계획(RFP) 지침에 친환경 자재사용 기준반영
* 국립대 기숙사 BTL사업 RFP 지침에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 기준을 추가하여 공사분야에서의 친환경상품
구매 확대 기반 마련
- 매월 기관평가 전략회의를 통한 이행상황 수시 점검
|
환경부 관련자료
|
- 친환경상품 구매 시범사업 추진을 통하여 구매실적 제고 및 자체 점검 강화
- 집중구매방식 도입 : 친환경상품 구매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집중구매 방식을 도입하여
물품구매
요청단계부터 검토 및 심사
- 구매, 공사 등에서 계약상대자의 친환경상품 구매 이행 확보를 위한 계약특수조건 규정하여
관계
서류 제출 의무화
- 가격·품질과 환경성이 동시에 고려되도록 환경관련 시설공사 기준 개정 추진
- 환경부의 사례를 적극 홍보하여 타기관으로 확산 유도
|
해양경찰청 관련자료
|
|
병무청 관련자료
|
- 자체 친환경상품 구매목표를 설정하여 시행
- 친환경상품 구매활성화를 위한 자체 훈령을 제정하여 공공구매의 효율적인 추진체계 마련
- 구매심사위원회 구성·운영 : 법에서 정한 친환경상품 등 구매활성화를 위하여 구매심사위원회를
구성·운영
- 구매실적 평가 및 보상시스템 구축 : 통합성과관리(BSC) 평가항목에 친환경상품 구매실적을
성과지표로
반영(연 2회 평가)
- 교육기관의 교과목으로 채택,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, 공공구매 실무편람(안내서) e-book
제작 등을 통해
공공구매 교육 활성화
- 공통사용물품(토너, 카트리지 등)에 대한 일괄구매제 실시
|
소방청 관련자료
|
- 자체 친환경상품 구매 목표비율(70%)을 설정하여 체계적으로 운영
- 친환경상품 구매활성화를 위한 자체 훈령을 제정하여 공공구매의 효율적인 추진체계 마련
- 친환경상품 미구매시 사유서를 첨부토록 내부 프로세스화(재무관 승인 필요)하여 실적 제고 및
체계적
구매기반 마련
자체 “미구매 사유서 양식”개발·시행
- 집중구매 방식 도입 : 친환경상품(프린터·복사기 토너카트리지, 행정봉투)은 집중구매방식
도입을 통해
구매 확대
|
관세청 관련자료
|
|
조달청 관련자료
|
- 공사용 관급자재 설계 및 발주방법 기준에 친환경상품 사용 반영
- 친환경상품 의무구매제도 매뉴얼 작성·배포·교육 실시
- 조달혁신회보를 통한 의무구매 제도홍보 및 구매협조 요청
|
식품의약품안전처 관련자료
|
- 법적 구매 의무사항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「2007년도 법적구매의무 권장사항에 대한
도입지침
(물품 등 구매지원)」을 수립·시달
인쇄시 필수소요품목이외에는 친환경 인쇄용지 사용 유도
사무기기류(가구, 전산기기, 토너카트리지 등) 구매시
집중구매방식 도입
물품 입찰공고시 친환경상품 우선납품 명시, 특히
위생용품(화장지, 비누, 쓰레기봉투 등)의 경우 우선구매 조치
- 매분기별 실적 보고 및 분기별 지도 점검 실시
- 연도말 실적평가를 통한 부서(기관)평가 및 우수직원 표창 시행
추진 부서별로 업무 분담을 실시하여 제도 운영 체계화
|